CS

[CS] 필기시험 용어 정리 (1)

이수밈 2024. 1. 13. 19:47

1. MAR / MBR

  •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(MAR : memory address register) 
    • 메모리 액세스 시  특정 워드의 주소가 MAR에 전송된다.
    • MBR로부터 쓰여지거나 읽혀질 단어의 기억장치 주소 저장
  •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(MBR : memory buffer register)
    • 레지스터와 외부 장치 사이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통로
    • 기억장치에 저장될 단어를 가지고 있거나, 기억장치로부터 읽혀진 다음 단어를 저장하는데 사용

 

2. 슈퍼앱 / 하이브리드앱

  • 슈퍼앱
    • 채팅, 금융, 쇼핑 등 다양한 서비스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앱
    • 하나의 앱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, 고객에게 일관된 경험을 제공하고, 축적된 데이터를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 가능한 앱 
  • 하이브리드앱
    • 웹 브라우저가 내부에 포함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 

 

3. 프로그램 크기에 따른 단편화

  • 단편화
    • 주기억장치에 프로그램을 할당하고 반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용되지 않는 작은 조각 공간을 의미
    • 주기억장치 상에서 빈번하게 기억장소가 할당되고 반납됨에 따라 기억장소들이 조각들로 나누어지는 현상
  • 내부 단편화
    • 주기억장치 내  사용자영역 > 실행 프로그램 
  • 외부 단편화
    • 주기억장치 내 사용자영역 < 실행 프로그램 

 

4. 트랜잭션 상태 - DB

  • 트랜잭션
    •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환시키는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 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 또는 한꺼번에 모두 수행되어야 할 일련의 연산들을 의미한다.
    • 상태 : 활동, 실패, 철회, 부분완료, 완료
    • 특징
      •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병행제어 및 회복작업 시 처리되는  작업의 논리적 단위.
      • 사용자가 시스템에 대한 서비스 요구 시 시스템이 응답하기 위한 상태 변환과정의 작업단위.
      • 하나의 트랜잭션은 Commit 되거나 Rollback 된다.

 

5. 프로세스 상태

  • 프로세스란 ?
    • 디스크에서 메모리에 올라오는  단위로, 자원의 소유자임.
    • 프로세스는 수행중인 프로그램이다.
    • 프로세스에 대한 모든 것을 표현하는 것이 PCB (Process Control Back)
  • Created, Active State(Ready, Running, Blocked), Suspended State(Suspended Ready, Suspended Blocked), Terminated 상태 등이 있다.
    • Suspended Ready : 생성된  프로세스가 바로  메모리를 받지못할 때 준비 또는 실행 상태에서 메모리를 잃게 될 때
    • Suspended Blocked : 대기 상태일 때 메모리 공간을 잃은 상태

 

6. 증강현실 / 가상현실 / 거울세계 - 메타버스

  • 메타버스란?
    • 초월, 가상 (meta) + 세계, 우주 (universe)
    • 현실의 나를 대신하는 아바타가 제2의 삶을 살 수  있는 가상 속 또다른 현실
  • 증강현실 (AR, augmented reality)
    • 현실에  실제 존재하는 사물이나 환경에  가상의 사물이나 환경이 더하여서 실제로 존재하는  것처럼 보여주는  현실
  • 가상현실(VR, virtual world)
    • 현실과 유사하거나 혹은 완전히 다른 세계를 디지털 데이터로 구축한 세계 
  • 거울세계 (MR, mirror world)
    • 현실세계를 거울에 비춘 것처럼 디지털  공간에 복제한 세계
    • 배달의  민족, 카카오맵, 구글어스 

 

7. 지도랑 비지도 구분 - 머신러닝 + AI

  • 지도 학습
    • 컴퓨터에게 정답이 무엇인지 알려주면서 컴퓨터를 학습하는 방법
    • 분류(주어진 데이터를  정해진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는 문제), 회귀(어떤 데이터들의  특징을 기준으로 연속된 값을 예측하는 문제)로  나뉜다.
  • 비지도 학습
    • 정답을 알려주지 않고 비슷한 데이터를  군집화해서 미래를 예측하는 학습
    • 라벨링 되어있지 않은 데이터로부터 패턴이나 형태를 찾아야 한다. - 높은 난이도
    • 클러스터링, 차원 축소 등

 

8. 차원축소 / 밀도분석

  • 차원의 저주 
    • 차원이 증가할 수록 데이터의 밀도는 떨어지며 빈공간이  생긴다
    • 데이터의 밀도는 차원이  증가할수록 희소해진다.
    • 차원이 증가할수록 객별  차원 내 학습할  데이터가 적어져서  모델의 성능이 안좋아지는 현상
  • 차원의 개수 = 변수의 개수
  • 차원축소
    • 고차원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속성이  존재하여 매우 복잡하고 처리하기 어렵다. 
    • 저차원 데이터는 시각화 및 분석  등의 작업에 있어 훨씬 용이하다.
    • 차원축소란, 고차원 데이터의 복잡도를 줄이는 기술
      • 분석대상이 되는 여러 변수의 정보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데이터 변수의 개수를 줄이는 통계 기법
  • 차원축소방법
    • PCA (Principal Component Analysis) : 선형차원 축소기술
    • 비선형 차원  감소 기술 : 데이터의 구조와 패턴을 새로운 저차원 공간에 매핑.  

 

9. 페이징

  • 페이징
    • 고정 분할방식(고정된 크기)으로 메모리를 분할하여 가상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하는 방법
    • 페이지와 프레임의 크기는 같기 때문에 단편화(남는 공간)을 줄여서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  수 있음
  • 페이지 테이블
    • 논리주소의 페이지를 물리주소의 프레임으로 매핑시켜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테이블 

 

10. RIP 특징 - 네트워크

  • RIP (routing information protocol)
    • 거리벡터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개발된 동적 라우팅 알고리즘
    • 인접한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수집해 저장하고, 수집한 정보에서 Hop Count가 가장 작은 경로로 라우팅하게 된다.
    • IGP 로 많이 이용되는 프로토콜
      • 특징
        • Hop Count 를 기준으로 Hop Count가 가장 작은 최적의 경로를 찾는다
        • 최대 Hop Count 는 15 이다 (16은 무한대 )
        •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을 30초 주기로 전파한다.

 

11. 트리 전위 탐색/후위탐색

  • 전위탐색 : 뿌리를 먼저 방문
  • 후위탐색 : 하위트리 모두 방문 후 뿌리를 방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