배열 배열 : 참조자료형/ 같은 종류의 데이터(자료형/타입)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구조 고정된 크기 → 한번 생성된 배열은 크기를 바꾸지 못함 → 배열의 길이는 임의로 변경 불가 배열을 객체로 취급 = 주소를 가리키고 있음 배열의 요소를 참조하려면 배열이름(변수명)과 색인이라고 하는 음이 아닌 정수값을 조합 : 변수명[값(index)] index 번호는 0부터 시작, index 번호로 각 요소에 접근가능 : 배열은 주소값이 0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계산해서 인덱스에 바로 접근 가능! 배열이름.length : ‘배열이름’이 가지고 있는 길이→배열의 길이 조회가능 길이 변경 필요시, 새로운 배열을 생성 후 내용을 옮긴다 배열의 선언 타입[] 변수 (이 형태를 조금 더 권장) 타입 변수[] 배열의 생성과 초..
if 문 : true/false 값을 산출하는 연산식 또는 boolean 타입변수 조건문 :if/switch 조건식이 참일 경우 문장실행, 거짓일 경우 실행안함 if-else if if-else 문 : 조건식이 참이면 if문 실행, 조건식이 거짓이면 else문 수행(else는 조건식이 없다) 중첩 if문 : 조건문 안에 조건문 if - else if - else 문 switch 문 : 인자로 선택변수를 받아 변수의 값에 따라 실행문결정→ 문자열도 switch 수식에 올 수 있음, break 문 없이도 사용가능, default = else 반드시 코딩 전에 로직을 짜주자 반복문 →범위를 알고있을 때는 for문, 범위를 모를 때 while for문 : for(①초기화식; ②조건식; ④증감식){ ③반복 수행할..
변수 (variable) : 데이터를 저장할 메모리의 위치를 나타내는 이름,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 확보 → 변수타입 등장(변수는 크기가 존재하기 때문에) ‘=’ : 대입연산자 / ==:비교연산자 변수 선언 : 자료형 변수이름; 변수 할당 : 변수이름 = 값; 변수초기화 : 선언과 동시에 할당을 하면 초기화라고 부른다. 자료형(Data Type) : 기본 자료형(8가지)(int)[ : 변수 자체에 이미 값을 가지고 있음] + 참조 자료형(string) 실수형 = 부동소수점 :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 크기가 큼 (유효자릿수) → 실수형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 int, double : 자바에서 선택한 기본형 기본자료형은 바로 값이 담겨있고, 참조자료형은 주소가 담겨있음 형 변환(Type Castin..
프로그램 : 특정작업을 수행하는 명령어의 모음, 작업지침서 운영체제 (os) 비트(bit = binary digit) : 컴퓨터가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최소단위 바이트(1byte = 8bit)(-128~127) : 컴퓨터에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최소단위 2진수(Binary), 2의 보수법(음수를 나타낼때 사용하는 표시법) 용량단위 : 10진수를 기준으로 하는 SI(10^3단위)와 2진수를 기준으로 하는 IEC(2^10단위) / KB = 1000, MB = 1000000, GB = 1000000000 자바 가상머신(JVM, java virtual machine) : 자바 바이트코드를 실행할수 있는 주체(~~.java) 컴파일 : 언어를 기계어로 바꿔주는 작업(.class 의 확장자를 가진 파일명으로 만들..